본문 바로가기

경제

(31)
북한의 제5차 화폐개혁의 대하여 북한은 사회주의를 이념으로 운영되는 국가이다. 시장이 존재하지 않으며, 배급을 통해 운영되는 사회에서 화폐개혁을 단행한다는 점을 보고 의문이 들었다. 북한에는 화폐가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북한의 화폐는 일반적인 자본주의 국가의 화폐와 다른 점이 있을까? 그리고 왜 화폐개혁을 단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 북한의 화폐 화폐란 무엇일까? 화폐는 상품 교환을 매개해주는 수단으로써 탄생하였고, 상품생산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어느 상품이든 구입할 수 있는 ‘일반적 등가물’(General equivalent)로써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형성된 화폐는 가치척도, 교환수단, 지불수단, 가치저장 수단 등의 기능을 한다.[1] 북한은 공산주의를 지향하는 사회주의 국가다. 본래 공산주의 국가는 화폐가 없는 국가..
후강통과 중국 주식시장의 MSCI 이머징 지수 편입이 대한민국 주식시장에 미칠 영향 중국은 최근 세계경제를 이끌어가는 명실상부한 G2로 부상하였다. 1981년 세계 GDP 순위 11위[1]에서 1992년 본격적인 경제 개방을 하면서 2007년에는 독일을 추월, 2010년에는 세계 GDP 순위 2위인 일본을 제치고[2] 올라왔다. 중국은 1990년대까지만하더라도 세계 경제에 미치는 기여도는 10%에 불과했으나, 2012년부터 2016년 동안의 중국의 세계 경제 기여도는 34%로 미국과 EU, 일본의 기여도[3]를 합한 것보다 많다[4]. 또한 중국의 금융시장 역시 경제와 마찬가지로 빠르고 거대하게 성장하여 세계 금융시장의 집중을 받고 있다. 을 보면 알 수 있듯이 2015년 12월 기준 세계 3위의 증권거래소인 도쿄증권거래소를 이서 상하이증권거래소와 선전증권거래소, 홍콩증권거래소가 아시아..
중앙은행의 독립성은 왜 반드시 보장되어야 하는가 중앙은행은 경제안정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책을 결정하고 시행하는 기관이다. 한 국가의 경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기관이기에 중앙은행은 각종 압력단체의 영향 없이 본연의 임무에 충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중앙은행은 금융정책이 정부, 국회 또는 이해집단들의 압력이나 간섭으로부터 독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1] 중앙은행의 독립성에는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 두 가지가 있다. 좁은 의미는 중앙은행은 중앙정부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넓은 의미는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다른 경제주체들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2]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주장하는 대표적인 이유로는 다음과 같다. 중앙은행의 독립성의 의미 첫째는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정치적인 이해..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후생경제학을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한 개념이 바로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이 두 단어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소비자잉여 먼저 소비자잉여에 대해서 알아보자. 소비자잉여란 소비자가 어떤 재화를 구입하기 위하여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 금액과 실제 지불하는 금액인 시장가격과의 차이를 의미한다. 위에 수요곡선이 그려져있는 그래프를 통해 쉽게 이해해보자. 일단 먼저 수요곡선(D)는 소비자가 단위당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을 나타낸다. 수요곡선상의 한 점에서 가격 와 수량 가 생겼다고 가정해보자. 그렇게 된다면 □b는 소비자가 실제로 지불한 금액이 되며, △a가 소비자잉여가 되는 것이다. 당연히 소비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이 수요곡선이 되는데, 실제로는 지불한 금액이 가 되는 것이니..
기회비용이란? 그리고 매몰비용 1. 기회비용기회비용이란 어떤 선택으로 인해 포기된 기회들 가운데 가장 비용이 큰 것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현재 나에게 영화관람, 콘서트관람, 잠자기라는 3가지의 선택지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리고 각각의 선택을 함으로써 얻게 될 만족감을 돈으로 나타내보면 영화관림이 5만원, 콘서트관림이 7만원, 잠자기가 3만원이라고 해보자.이러한 선택지에서 만약 콘서트관람을 선택하게 된다면 이때의 기회비용은 얼마일까? 가끔식 포기된 기회라고 하여 영화관람과 잠자기를 포기함으로서 잃게된 5만원과 3만원 모두를 합하여 기회비용이 8만원이라고 생각을 할 수가 있는데, 기회비용은 앞서 말했다시피 포기된 기회들 가운데 비용이 가장 큰 것을 기회비용이라고 한다.그렇기때문에 위 상황에서 콘서트관람을 선택함으로써 발생한 기회비용은..
미국과 한국이 마지막 결전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http://money.cnn.com/2018/01/04/news/economy/us-south-korea-trade-talks/index.html 이 기사는 한미FTA 재협상에 대한 기사이다. 이 기사에서는 한미FTA를 재협상하는 것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이 기사에 따르면 트럼프가 한미FTA에 대한 재협상을 단호하게 실시하려는 이유는 실제로 미국이 피해를 입는다고 생각되기 보다는 자신의 공약을 이행함으로써 국민과의 약속을 지켰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 더 크다고 보고있다.한미FTA로 인해 미국이 계속해서 무역 적자를 보고 있다고 트럼프가 주장을 해왔는데, 한미경제연구소인 KEI에 따르면, 한국과의 FTA를 통한 미국 무역 적자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한국에 ..
최저임금 인상, 중요한가? 20대 총선 당시 많은 정당에서 내걸었던 공약이 있다. 바로 최저임금 인상이다.​(출처:http://m.media.daum.net/m/channel/view/media/20160428053105148)​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다시피 많은 정당들이 최저임금을 1만원 수준까지 인상시키겠다는 것이다. 그리고 총선이 끝난지 3개월 후에 현재 많은 사람들이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공약을 지켜달라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특히나 경영계에서는 '미혼 단신노당자의 생계비'가 103만원 정도라고 주장을 하고 있다. 올해 최저임금 기준 월 환산액인 126만원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주장으로 많은 노동자들이 최저임금 인상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필자는 여기서 의문점이 하나 든다. 과연 최저임금 인상안이 가장 중요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