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11)
국민소득모형에서의 균형 간단하게 국민소득, 소비지출, 조세의 함수가 주어진 케인즈 국민소득모형에서 균형은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 이 모형에서 Y, C, T가 내생변수로, I(투자)와 G(정부지출)는 외생변수라고 가정해보겠다. 첫번째 함수인 국민소득 함수 Y는 균형조건식이며, 소비지출 함수 C와 조세 함수 T는 각각 행태식이다. 소비지출 함수 C의 파라미터인 a는 기초소비를, b는 한계소비성향을 나타내며, 조세 함수 T의 파라미터 d는 정액세, t는 세율(tY는 누진세)을 나타낸다. 3개의 방정식은 서로 함수적으로 독립이고 모순되지 않는다면, 균형값 Y*, C*, T*는 파라미터들과 외생변수로 나타낼 수가 있다. 그러기 위해 먼저 함수 Y에 함수 C를 대입하면, 아래와 같은 하나의 변수 Y를 갖는 단일방정식으로 만들 수가 있다..
일반시장균형 - 2상품시장모형(Two commodity market model) 모든 재화는 수 많은 보완재와 대체재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렇기때문에 한 상품의 수요함수와 공급함수는 그 상품 자체의 가격뿐만 아니라 관련된 상품들의 가격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이번 글에서는 오직 2개만의 상품이 존재하는 모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두 상품이 존재하는 시장이며, 수요와 공급함수는 간단하게 선형함수라고 사정하자. 그렇다면 이 시장에서 두 상품의 각각의 수요함수와 공급함수는 위와 같이 나타낼 수가 있다. 계수 a와 b는 첫 번째 상품과 관련있으며, 계수 c와 d는 두 번째 상품과 관련이 있다. 이 모형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소거법을 이용해야한다. 수요함수와 공급하수가 같다는 모양으로 방정식을 나타내면 아래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각 상품의 균형조건식을 얻을 수가 있다. 그..
토지의 자연적, 인문적 특성 ▶자연적 특성 토지의 자연적 특성은 물리적 특성이라고도 하며, 인간의 법, 경제 등의 활동과는 무관하게 선천적이며, 고정적이며, 불변적인 성격을 갖는다. 부동성(고정성) 토지는 인위적으로 그 위치를 이동시킬 수 없는 특성을 말하며, 토지의 대표적인 특성을 의미한다. 토지를 구성하고 있는 토양과 광물 등의 물리적 실체는 이동될 수 있으나, 토지와 같은 부동산의 위치는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모든 부동산 활동은 이 부동성을 전제로 하여 전개된다. 이 부동성은 부동산과 동산을 구별하는 근거가 되며, 토지이용행위가 부동산 시장에 외부효과를 발생시키는 근거가 된다. 부동산 감정평가 시 지역분석의 근거, 그리고 적합의 원칙과 관련하여 경제적 감가의 근거가 된다. 또한 부동산과 동산의 공시방법을 달리하는 근거(부동산은..
일본 대학 순위(경제 경영 상학) 이번에는 일본 대학의 경제, 경영, 상학 카테고리 순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빨간색은 국립대, 파란색은 공립대, 검은색은 사립대학교입니다. 순위는 World University Rankings(Times Higer Education)에서, 편차치는 早分かり大学受験大学偏差値情報2019サイトマップ에서 발췌했습니다. 종합순위 대학명 종합점수 교육리소스 교육충실도 교육성과 국제성 편차치 1 교토대학(京都大学) 82.0 84.4 78.8 98.4 69.8 69.0 2 도쿄대학(東京大学) 81.9 87.0 79.9 97.3 63.8 70.0 3 도후쿠대학(東北大学) 80.2 82.5 80.9 95.6 63.2 62.0 4 규슈대학(九州大学) 79.5 76.9 77.2 96.9 73.4 63.0 5 홋카이도대학(..
럭비공 같은 주가 움직임, 예측 가능할까? 주식 투자로 높은 수익을 낼 수 있을까? 경제물리학을 통해 주식시장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물리학의 관성 작용이란 물체에 가해지는 외부 힘의 합력이 0일 때, 자신의 운동상태를 지속하는 성질을 의미하는데, 주가 움직임에도 관성이 존재할 수 있을까? 이를 모멘텀이라고 하는데, 모멘텀은 원래 물리학 용어로 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움직이려는 가속도를 의미한다. 주식시장에서 모멘텀은 현재의 추세가 더 강해지고 있는지, 아니면 더 약해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데, 주가가 상승하는 와중에 놀랄 만한 기업실적이 발표되면 상승 모멘텀이 강해지게 된다. 반대로 주가가 상승 중이었는데 기업실적이 악화 된 것으로 나오면 상승 모멘텀이 꺾이면서 주가가 하락으로 방향을 바꿔지게 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자기상관함수를 활용해 주..
시카고 학파의 대부 게리 베커, 누구일까? 게리 베커는 인종, 결혼, 교육, 범죄 등의 사회현상을 경제학으로 설명해 미시경제학의 지평을 넓힌 경제학자로, 밀턴 프리드먼이 “그는 나의 가장 뛰어난 제자이자 20세기 후반의 가장 뛰어난 사회과학자이다.”라 칭찬하였다. 베커는 범죄행위 역시 경제학적인 논리로 발생한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차를 주차장에 세우면 합법이지만 지각할 위험이 커진다. 반대로 차를 근처 길가에 세우면 목적지와 가까워지지만 불법이기에 벌금을 물게 될 확률이 커진다. 즉, 범죄를 행함으로써 얻는 이익이 처벌로 인해 지불해야 하는 비용보다 클 때 범죄자가 범죄를 일으킨다고 한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차별의 정의는 생산성이 동일함에도 특정 집단에 속해 있다는 이유로 다르게 대우받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능력이 같음에도 불구하고 여성..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 다시 읽기 ​ 19세기 공장이 가내수공업을 대체하면서 빈민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맑스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 원인은 바로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맑스는 인간의 의식과 제도는 역사의 흐름 속에서 그 시대의 물질적 기반과 생산방식에 따라 결정된다는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노동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기 때문에 자본가는 노동자에게 생존에 필요한 최소 임금만을 지불한다고 주장하면서, 자본가가​ ‘잉여가치’를 발생시켜서 차지하는 것을 ​‘착취’라고 규정면서 노동가치설을 주장하였다. 노동가치설이란 상품의 실체는 다름아닌 인간노동이며 상품의 가치는 그 생산에 필요한 노동시간으로 결정된다는 학설이다. 맑스는 ​정(thesis,자본주의), 반(anti-thesis,갈등), 합(새로운 구조) 논리를 통해 ..
레옹 왈라스 vs 알프레드 마샬 레옹 왈라스는 1870년대 한계요용개념에 기초하여 경제 이론을 전개한 한계효용학파다. 한계효용은 어떤 재화를 한 단위 추가적으로 소비할 때 증대되는 주관적인 욕망충족(효용)의 정도를 의미한다. 즉 물은 유용한데 값이 싸고, 다이아몬드는 유용하지는 않지만 값이 매우 비싸다. 이에 한계효용을 적용하면 물은 추가 공급 시, 한계효용이 낮지만 다이아몬드는 추가 공급시, 한계효용이 높다. 즉 재화의 교환가치는 한계효용에 의해 결정 된다. 왈라스의 최대 업적은 일반 균형이론으로 예를 들어 AI발생으로 닭고기의 소비가 감소하면 닭고기 가격이 하락하게 되고 이로 인해 쇠고기, 돼지고기의 소비가 증가하여 가격이 상승한다. 또한 가축 사료로 쓰이는 농작물의 가격이 변화하고 트랙터 등 농기구의 가격이 변화한다. 일반균형의 ..